‘다한증’의 증상 및 치료 방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매일/흉부외과] 한여름도 아닌데, 손과 발, 겨드랑이에 흥건한 땀은 언제 어디서나 당황스럽게 한다. 덥거나 긴장을 했을 경우 경한 정도의 땀이 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신체 반응이며, 건강의 증거다.

그러나 조그만 긴장에도 불구하고, 불쾌감을 느낄 정도로 땀이 흐른다면 다한증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다한증이란, 특별한 질환 없이 체온조절 등과 같은 생리적 필요 이상으로 땀이 나는 일상생활이 불편한 상태를 말하며, 그 증상이 심하다면 치료를 통해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

다한증의 특징으로 먼저 온도보다는 정서적인 반응(긴장하거나, 몰두)에 예민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여름에도 많지만 가을 겨울에도 상당한 땀을 흘리게 된다, 잠을 잘 때는 신기하게도 땀이 나지 않는다, 남과 다르다는 소외감도 생기고 옷이 젖어 감기도 잘 걸리는 것 같다,

집에 있을 때는 야외 활동에 비해 땀이 잘 나지 않기 때문에 집에 있는 것을 좋아한다, 땀을 흘리는 증상으로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는다 등으로 체크해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한증은 온도나 긴장과 같은 외부환경을 인지하여 땀을 유발하는 센서인 교감신경이 남보다 예민해서 생기게 되는 것으로 성격과는 무관하며, 아직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자극에 예민한 특정 부위의 신경이 작용을 하면 신경 말단에 Cholin(콜린)이라는 물질이 분비되고 이 콜린이 땀샘을 때리면 땀이 나게 되는 것이다.

다한증은 그 부위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방법과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먼저, 손 다한증의 경우 땀의 분비를 관장하는 교감신경의 회로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것으로, 해당 교감신경을 차단함으로써 땀의 분비를 막는 방법이다.

그러나 복부, 등, 허벅지 등과 같이 평소에 땅이 잘 나지 않던 부위에 땀이 나게 되는 보상성 다한증과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을 보완하고자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 이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

대신 한번 수술하면 되돌릴 수 없는 교감신경절제술 대신 클립을 이용한 수술을 시행, 문제가 발생하면 다시 클립을 제거해 보상성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비디오 흉강경은 5㎜ 굵기의 것으로 흉터가 남지는 않는다.

비교적 보상성 다한증의 발생빈도가 적어수술의 만족도가 높은 손 다한증에만 사용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예상치 못했던 곳에서 땀이 나기 시작하는 보상성 다한증의 가능성이 줄어들었을 뿐 완전히 자유로운 것은 아니므로 수술시행에 앞서 전문가와 충분한 상담을 할 것을 권장한다.

이 밖에 겨드랑이 다한증에는 해당 부위의 땀샘을 직접 흡입해 내는 땀샘흡입술(리포셋)이 가장 많이 시도되고 있으며, 얼굴이나 발 혹은 전신 다한증은 부위의 특성상 수술적 치료가 어려워 주로 항콜린성분의 약물 요법이 주로 쓰이게 된다.

또한 보톡스 요법은 땀이 나는 부위에 약 1.5㎝ 간격으로 조밀하게 피내주사를 놓는 방법으로 효과는 평균 6개월 정도 지속하지만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다한증 치료 전문 다정흉부외과 임한중 원장은 “다한증의 가장 큰 문제는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나 획기적인 치료법이 없다는 점이며, 치료에 앞서 각각의 장단점과 여러 제반 여건을 충분히 고려해 자신에게 적합한 방법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아직도 다한증에 대해서는 ‘이 치료가 맞다’고 콕 집어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의사는 많지 않기 때문에 조금 번거롭더라도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 충분한 상담 후 자신에게 맞는 치료가 어떤 것인지 검증해 가는 게 최선의 방법이다”라고 설명한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시사매일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