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구릉지 재개발에도 성냥갑 아파트는 이제 그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앞으로는 구릉지(비탈진 경사지) 재개발에도 획일적인 성냥갑 아파트는 사라질 전망이다.

서울시는 비탈진 경사지를 평지로 깎아 획일적인 성냥갑 아파트를 짓는 형태로 진행돼온 구릉지 주택재개발에 ‘특별 경관관리’ 개념을 도입, 무리한 지형 허물기를 지양하고 지역 특성에 맞도록 주거유형을 다양화해 구릉지 역사·문화·자연적 경관 아름다움을 최대한 살리겠다고 15일(일) 밝혔다.

그동안 구릉지에 재개발은 주로 경사진 구릉지를 평지로 깎아 절개지에 아파트를 짓는 방식이었는데, 비탈진 지형의 특성상 다양한 형태의 건축이 쉽지 않아 단조로운 설계양식의 성냥갑 아파트를 양산해왔으며 건축 과정에서 과도한 터파기와 흙의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한 위협적 옹벽설치가 이루어져 온 실정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전문성을 갖춘 18명의 ‘특별경관 관리설계자’ pool을 운영, 정비사업 주체인 자치구가 이들을 적극 활용해 설계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각각의 구릉지에 맞는 특성과 경관을 살린 주택 모델을 창출해 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구릉지를 일반 정비사업과 달리 주변과 연계한 경관관리가 필요한 특별 지역으로 보고 작년 두 차례에 걸친 공개모집을 통해 18명의 명망 있는 우수건축가들을 ‘특별경관 관리설계자’로 선정, 구릉지에 적합한 주택재개발 정비모델 개발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리고 마침내 특별 경관관리 설계자가 참여한 제1호 우수 모범모델이 나왔는데, 바로 (주)종합건축사사무소 시건축(대표 류재은)이 설계한 홍은동 13·14구역의 주택재개발 정비계획이다. 현재 설계를 완료한 상태.

홍은동 13·14구역 설계는 성냥갑 아파트 일색에서 벗어나 테라스형 주택, 탑상형 주택, 판상형 주택을 적절히 조화시킨 다양하고 리듬감 있는 건축계획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주거유형을 실현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주변지역에 순응하는 단지계획과 주변 경관과 어울리는 건축배치를 통해 통경축을 확보했다.

서울시는 특별 경관관리 설계자 도입 이전에도 구릉지에 적합한 주택재개발 정비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이화1재개발구역(종로구 이화동 9번지 일대, 15,000㎡)을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 181세대 규모의 시범사업을 시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효수 서울시 주택국장은 “홍은동 모델은 앞으로 서울시 재개발 사업은 아파트 위주의 획일적 계획에서 지역특성과의 어울림을 중시하는 다양한 주거유형으로 방향전환 되는 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하고 “주민들이 원하는 사업성을 확보하면서도 역사·문화·자연경관을 보전하는 정비계획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홍은동 13·14구역 외에도 정릉동 일대, 경복궁 서측(체부동 일대) 등에도 특별 경관관리 설계자가 참여해 설계를 진행 중이며, 이밖에 성북 2구역, 중계1동 104마을, 홍제동 개미마을 등도 특별 경관관리 설계를 서울시와 지역 주민의 협의 하에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서울시는 구릉지뿐만 아니라 역사·문화유적 주변지역의 주거지 정비방안 등을 수립할 경우에도 특별 경관관리 설계자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며 각 자치구에도 지속적으로 활용을 권장해 나갈 방침이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시사매일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