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최초의 디젤엔진은 경유가 아닌 바이오연료를 사용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매일 최승준 기자】봄에만 걱정하던 황사와 미세먼지가 시기에 상관없이 대한민국 대기를 어지럽히고 있다. 이런 이유로 지난 15일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미세먼지특별법)이 전면 시행되고, 서울을 비롯 인천과 경기도 등 수도권 이외 지역으로 순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미세먼지 특별법은 미세먼지가 심한 날 자동차 운행제한을 통해 대기환경을 조금이라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됐다는 점에서 국민들의 동참이 중요하지만, 생활필수품이자 개인소유물인 자동차 운행을 법으로 무조건 막거나 제한을 두는 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학과 법학이 아닌 과학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이름하여 '바이오 연료'
 
세계 최초로 개발한 디젤엔진의 연료가 경유가 아닌 땅콩에서 추출한 바이오디젤을 사용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바이오연료 개발가능성과 현실 보급성은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높은 편이다. 

현재 바이오연료는 크게 휘발유를 대신할 수 있는 바이오에탄올과 경유를 대신할 수 있는 바이오디젤이 가장 대표적이다. 바이오에탄올은 옥수수나 밀, 보리 등에 효소를 섞어 포도당을 만든 뒤 발효시켜 만든다. 사탕수수의 경우에는 직접 발효가 가능하다. 

바이오디젤은 유채작물(식용유와 같은 기름 추출이 가능한 콩,유채꽃 등)에서 식물성기름을 추출한 후 알코올과 화학적 결합을 통해 생산한다. 

바이오에탄올보다 바이오디젤이 생산하는 과정이 조금 더 복잡하고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두 종류의 바이오연료가 다른 종류의 바이오연료보다 더 각광을 받는 이유는 기존의 자동차를 크게 개조하지 않아도 자동차 연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에너지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광합성으로 제거하고 만들 수 있다는 점과 고갈 가능성이 높은 석유와 달리 식물재배를 통해 무한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은 상당히 매력적인 요소이다.

이런 장점을 바탕으로 2007년 미국은 브라질과 함께 바이오연료 보급을 확대하겠다는 발표를 하였다. 하지만, 바이오연료 보급 확대가 알려지자 세계 곡물시장의 옥수수와 밀 가격이 폭등하고 농지가격이 60% 이상 상승하는 등 생각하지 못 한 부작용이 발생하며 추진동력에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지구 반대편에는 기아가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 식량을 사용해 에너지를 만든다는 점을 윤리적 문제로 해석하는 국가가 나타나고, 현실적으로 에탄올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곡물 생산 가능한 국가가 미국과 브라질을 제외하면 없다는 점에서 바이오연료 확산에 제동이 걸렸다.

하지만, 현재 브라질과 캐나다에서는 사탕수수를 발효하여 만든 에탄올을 자동차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독일과 이탈리아에서는 도심버스나 대형버스에 사용하는 연료는 100% 바이오연료를 사용하도록 법으로 제정한 상황이다. 
 
여기에, 미국에서는 곡물 대신 나무와 풀, 곡식 부산물 등의 식물섬유(바이오매스)를 사용한 바이오연료 개발을 통해 윤리적인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산림이 많은 국가에서 생산 가능하도록 해 기술 보편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현재의 친환경자동차로 각광받고 있는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 그들의 미래는 경유자동차와 같이 아무도 장담할 수도 알 수도 없다. 
 
또 다른 종류의 친환경자동차인 바이오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미래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우리만 몰랐을 뿐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가까운 곳에 바이오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가 있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시사매일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