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新정부 정책의 최대 수혜는 '이차전지, 광학, 반도체' 예측

하나금융경영硏 "하반기 전망, 반도체·석유화학 가장 좋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매일=이호준 기자】하나금융경영연구소(소장 배현기)가 27일 ‘2017년 하반기 산업 전망’을 발표하고 신(新)정부 정책 방향에 따른 산업별 영향을 제시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지난 5월 출범한 신(新)정부의 공약집을 분석한 결과 향후 5년간 가장 큰 수혜가 예상되는 업종으로 이차전지, 광학, 반도체를 꼽았으며 센서, 통신칩, 신재생에너지, LBS(위치 기반 서비스) 역시 수혜 대상으로 지목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구현, 미래형 신산업 육성, 제조업 부흥 및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미세먼지 저감, 통신비 인하, 복합쇼핑몰 영업 제한, 최저 임금 인상 등 7개 분야 공약내용이 상대적으로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해 이주완 연구위원은 “비록 공약집에서는 분리되어 있지만 산업의 관점에서 본다면 4차 산업혁명 구현과 미래형 신산업 육성은 상당 부분 중복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위원은 “이들 두 개 공약에서 파생된 수십 개의 세부 정책 가운데 3개 이상의 복합적인 수혜를 받는 섹터는 이차전지, 광학, 반도체 등이며 센서, 통신칩, 신재생에너지, LBS, 빅데이터, 로봇, AI 등도 유망하다”고 덧붙였다.

반면, 이 연구위원은 유통, 통신, 경유차 부품 등은 공약과 관련해 가장 피해가 예상되는 분야라고 지목했다.

연구소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파리협정 탈퇴를 공식 발표한 것과 관련해 국내외 영향을 분석했는데, 주(州)정부의 영향력이 큰 미국의 거버넌스 특성으로 인해 생각보다 파급력이 크지는 않겠지만 신정부 수혜 분야의 하나인 신재생에너지의 플러스 요인을 일정 부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오유진 수석연구원은 “미국이 유엔기후변화협약 자체를 탈퇴하지 않는다면 파리협정 탈퇴에 최소 3년 이상 소요되므로 트럼프 대통령 재임기간 중 처리가 어렵다”고 설명하고 “또한, 미국은 주(州)정부의 에너지 및 기후 정책 자립도가 높은데 상당수의 주(州)정부가 파리협약 탈퇴에 부정적”이라고 부연했다.

다만, 신재생에너지 관련 연구개발 투자와 미국으로의 태양전지 수출이 위축돼 신(新)정부 출범에 따른 수혜 효과를 다소 상쇄시킬 수 있다는 것이 연구소의 설명이다.

연구소는 또한 16개 대표 업종의 경기 사이클을 발표하면서 지난해 말 발표한 2017년 산업 전망과 비교할 때 9개 업종의 경기 포지션이 상향됐으며 이번에 하향된 업종은 없다고 전했다.

이주완 연구위원은 “최근 IT산업의 호황과 저유가 기조를 반영해 반도체, 정유, 석유화학 등 8개 업종의 전망치가 한 단계씩 상향되었으며 최근 공급이 빠듯한 디스플레이는 두 단계 상향됐다” 며 “이번에 전망치가 하향된 업종은 없으며 조선, 해운, 섬유, 건설 등 4개 업종은 여전히 불황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발표 내용을 정리했다.

또한, 연구소에 따르면 산업 경기 사이클의 최상위 포지션인 ‘호황’에 반도체와 석유화학 두 업종이 자리를 잡았는데, 동 연구소의 경기 전망에 호황 업종이 등장한 것은 2014년 이후 처음이다.

한편, 건설과 관련해 황규완 수석연구원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가 예정되어 있으나 이전 정부에서 이미 정책기조가 규제 강화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시장이 어느 정도 적응함에 따라 급격한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한다” 며 “다만, 정부의 SOC 예산 감소로 토목 부문은 다소 부진하고 저유가로 해외 건설 발주는 크게 증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하반기 건설시장에 대해 전망했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시사매일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기사
모바일버전